우주의 영역에 도전하는 수학 문제?

우주의 영역에 도전하는 수학 문제?

익_1uht53 3.9k 20.11.19
13368_0_i13623400077.jpg

'소수'는 1과 자기 자신 이외에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를 말한다.

2, 3, 5, 7, 11 등

영어로는 Prime Numbers

이물질이 묻어있지 않은 순수한 숫자라는 의미다.




13368_1_i13656276590.png

소수는 무작위적으로 나타난다. 

2개, 4개마다 나타나는가 싶다가도

42개의 숫자에서도 소수가 나타나지 않는 등 

배열에는 전혀 규칙이 없어보인다.


때문에 사람들은 소수가 
자연이나 우주와는 관계없는 무의미한 숫자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13368_2_i13692440349.png

적어도 오일러라는 사람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말이다




13368_3_i13630913299.png

13368_4_i13665864012.png

오일러는 소수의 제곱에 1을 뺀 수를 분모로

소수의 제곱을 분자로 두고 이 수를 모두 곱하면 어떻게 될지 계산해 봤다

그랬더니 뜬금없이 원주율(3.14)이 나와버린다

(모든 소수를 계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은 오일러의 가정이라 명명된다)


아무런 규칙도 없어보이던 소수의 배열이었지만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형태인 원을 나타내는 원주율과 이어져 있던 것.




13368_5_i13610955612.jpg

13368_6_i13633357713.jpg

100년 뒤

리만이라는 사람이 같은 의문을 품고

오일러의 식에서 2를 x로 바꿔 본다

이것이 바로 '제타함수'




13368_7_i13698517935.jpg

13368_8_i13675726311.jpg

13368_9_i13609392821.jpg

소수는 무분별한 숫자배열이니, 
제로점도 무분별하게 존재하리라는 것이 기존의 예상이었다.






13368_10_i13653125935.jpg

하지만 예상고는 다르게 제로점은 모두 일직선상에 있었고





13368_11_i13685407990.jpg

리만은 "그러면 나머지 소수들도 다 마찬가지 아닐까"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리만가설'


만약 모두 한 직선 위에 존재한다면

소수의 규칙을 찾아내게 됐다고 볼 수 있다




13368_12_i13668914972.jpg

13368_13_i13699568832.jpg

게다가 고드프리 하디라는 사람은

직선 위에 무한히 많은 제로점이 있다는 것을 증명해냈다




13368_14_i13630868343.jpg
13368_15_i13666248998.jpg

13368_16_i13608693781.jpg

어느날 몽고메리라는 수학자와 
프리먼 다이슨이라는 물리학자가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었다




13368_17_i13639223175.jpg

13368_18_i13670852478.jpg

몽고메리 박사가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제타함수에 대해 설명하면서

다이슨 박사에게 제로점 간격에 대한 식을 보여준다





13368_19_i13601878084.jpg

13368_20_i13634749947.jpg


그걸 본 다이슨 박사가 놀란다

몸고메리 박사가 보여준 식은

13368_21_i15026773032.jpg

전자궤도의 간격에 대한 함수와 완벽하게 일치했기 때문



소수와 원자

전혀 관련이 없어보이는 정수론과 입자물리학의 만남


13368_22_i13666903937.jpg

글이 없습니다.

글쓰기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