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음식점 울리는 배민의 &039깃발 꽂기&039

작은 음식점 울리는 배민의 &039깃발 꽂기&039

익_49h0bi 2.7k 19.11.25

20191125031556600yetr.jpg

배달의민족 月8만원 '울트라콜'
일부 식당 가짜주소 여러개 등록.. 주문 독식하는 '깃발 꽂기' 악용
작은 음식점들 노출 기회 못잡아 "배민이 과열 경쟁 조장" 비난에.. 뒤늦게 특별팀 꾸리고 개선 나서

지난 21일 오후 서울 송파구 한 아파트에서 한식을 시켜먹으려고 음식 주문 앱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을 열었다. 한식 메뉴를 클릭하자, 김치찌개·쌀국수·삼겹살세트·찜닭·볶음밥·비빔밥·도시락 음식점이 우르르 떴다. 그런데 스마트폰 화면을 위로 넘기자, 아까 봤던 음식점이 반복해 등장했다. H 김치찌개와 D 김치찌개는 몇 차례 화면을 넘기는 동안 무려 7~8번 나왔다. M 찜닭은 10㎞ 넘게 떨어진 곳인데도 배달 음식으로 떴다. 반복 노출되는 음식점만 10여 곳이었다. 고르기가 불편할 정도였다.

내수 불황 속에 배달 주문을 한 콜이라도 더 받으려는 음식점 간 경쟁이 과열되면서, '깃발 꽂기'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본래 배민 앱에는 점주가 자신의 음식점 주소를 입력하면 반경 1.5~3㎞에 있는 소비자에게 상호와 음식 종류, 최소 주문 가격, 배달 예상 시간 등이 노출된다. 공짜는 아니다. 음식점주는 배민을 운영하는우아한형제들에 한 건당 월 8만원(부가세 별도)을 낸다. '울트라콜'이라는 광고다. 그런데 일부 현금 능력이 있는 음식점이 실제 주소와 다르게 주변 아파트 단지 근처 주소를 아무 곳이나 멋대로 지정해 10여 개씩 울트라콜 광고로 등록하는 것이다. 이 아파트에 사는 주민에겐 거짓 위치를 등록한 이런 음식점을 가장 가까운 곳으로 착각해 가장 위에 띄운다. 이렇게 매월 100만원 가까운 돈을 내면서 무차별 깃발 꽂기를 하는 일부 음식점 탓에 주변의 소형 음식점주들은 제대로 노출 기회도 못 잡고 배달 손님을 뺏기고 있다.

◇11만 음식점 울리는 '깃발 꽂기'

국내 배달 음식 시장은 배민이 사실상 장악했다. 배민 앱에서 1000만~1100만 이용자가 매달 3~4회씩 음식을 주문한다. 올해 배민에선 음식 주문이 4억건 이뤄지고 결제 금액은 약 8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배달 음식 전체 시장이 15조~18조원이니, 국내 음식 주문의 절반이 배민에서 이뤄지는 셈이다. '배민을 통하지 않곤 배달 음식점을 운영할 수 없다'는 게 요즘 요식업계 정설이다. 배민 등록 음식점만 11만 곳이다.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작년 매출 3193억원과 영업이익 59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의 2배다. 올해도 실적 급등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글쓰기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