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아월 베스트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익_1xt8o2 2.2k 20.08.30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CloudFlare (클라우드플레어) 접해보기

요즘은 고퀄리티 컨텐츠들이 많이 생산된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이미지의 용량이라던가, 영상의 용량이 커지고 있구요. 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입장에서 회원들의 요구사항인 첨부파일 용량이라던가 홈페이지 속도는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죠.


그래서 이미지는 외부에 저장을 하고 보여주기를 많이 합니다.그러면 대역도 트래픽도 모두 잡을수 있을테니깐요.흔히 CDN 이라는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쉽게 컨텐츠를 배달해주는 서버라고 보시면 될거 같네요.


장점도 많지만 단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컨텐츠를 배달해주는 쪽에서 느리면 그 컨텐츠를 보려는 본 홈페이지도 영향을 받겠지요. 허나, 이러한 문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캐시(cache)를 통해 해결를 하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넘어가자면, 이러한 CDN 서비스를 이용하고 싶어도 무엇이 있는지를 모르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대표적으로, 아마존의 Cloud Front, Cloud Flare 를 꼽을수 있습니다(견해입니다) 


제목에도 있듯이 CloudFlare(클라우드플레어)에 대해서 소개해 보고자 합니다.


CloudFlare(클라우드플레어)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CDN 서비스 입니다.SSL 인증서가 없어도 HTTPS를 지원합니다. 또한, 설정 방법이 워낙 손쉬워서 5분도 걸리지 않습니다.


DNS를 제공하기에 도메인의 실제 IP가 들어나지도 않습니다. 유료와 무료의 차이는 cache타임을 줄이거나 단일파일의 업로드 용량을 늘릴수 있으며,보안적인 서비스를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유료 서비스는 레일건(Railgun) 이라는 서비스 입니다. 


처음은 이렇게 간단하게 CDN 이 무엇인지와 CDN 서비스 업체중 CloudFlare(클라우드플레어)에 대해서 적었습니다. 다음에는 CloudFlare(클라우드플레어)의 설정 방법과 그에 따른 서버셋팅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글쓰기
제목